어떻게 지냈나요?
미니 프로젝트가 끝나고 2주간의 재정비 시간을 거쳐 드디어 마지막..! 파이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파이널 프로젝트는 패스트캠퍼스와 파스터십을 맺은 기업의 서비스에 대한 솔루션을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수강생들의 협업을 통해 해결해나가는 과정인데, 미니 프로젝트 때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두 파트가 모여서 협업했다면 파이널 프로젝트는 PM, UXUI, FE, BE 네 개의 파트가 모여서 협업을 하게 된다. 미니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파이널은 개발 파트 팀원들이 바로 작업을 진행할 수 없고, PM의 프로젝트 설계와 UXUI의 유저 플로우 설계를 거쳐서 투입되기 때문에 프로젝트 진행 초반에는 개발 파트 팀원은 별도의 WBS 과정을 통해 미니 프로젝트 회고 및 리팩토링을 진행했다.
파이널 프로젝트?
앞서 이야기한대로 파이널 프로젝트는 패스트캠퍼스와 파트너십을 맺은 기업들의 서비스로 진행하는 기업 연계 프로젝트이다. 실제 기업에서 서비스 중인 프로젝트의 문제 및 니즈를 분석하고 팀 단위 협업을 통해 해결책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있다. 미니 프로젝트 때에도 떨렸지만 비개발 파트가 추가되어 보다 더 많아진 인원의 대규모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엄청 기대되고 떨렸던!!!!!
[ 파이널 프로젝트 : 오피스너 🏢 ]
진행 기간 : 2023년 8월 14일 (월) ~ 2023년 10월 6일 (금)
제출 일자 : 2023년 10월 6일 (금)
기획 발표 : 2023년 9월 1일 (금) 19:00
중간 발표 : 2023년 9월 22일 (금) 19:00
최종 발표 : 2023년 10월 6일 (금) 19:00
목표 Goal!
오피스너는 빌딩 내 입주자들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입니다. 현재 오피스너는 특정 기능 외에 유저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시간이 줄고, 새로운 유저의 추가 인입이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해당 부분을 보완하는 해결책을 가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피스너 서비스의 유저 가입자 수와 WAU를 높임)
✅ 오피스너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고, 관리 효율을 높여 임팩트를 주고자 한다.
✅ 신규 일반 가입자 수 30% 상승
✅ MAU(Monthly Active Users) 100% 상승
협업 Cowork!
조편성 이후 대규모의 인원이 모여서 팀 빌딩을 진행했는데 각자가 원하는 팀의 규칙을 한 줄씩 적어가며 작성했다. 인원이 많은만큼 많은 내용이 담겨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이 이전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겪었던 팀 단위 협업의 필수 예절 등을 잘 적어주신 것 같다. 그리고 추후 프로젝트를 잘 관리하기 위해 프론트엔드 파트 팀원들끼리는 별도 노션으로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공유한다. 각각 잘 하는 것을 담당하기로 했는데 기록하기를 좋아하는 나는 회의록 작성을 전담하기로 했다.



기획 Planning!
우리 팀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어플을 계속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초대장 기능과 유저간의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기능을 가져가기로 결정됐다. 새롭게 만드는 서비스가 아니라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회원가입과 로그인 등의 기본 기능은 생략하고 프로젝트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 개선에 집중하기로 했다!
🏢 타켓 대상 : 오피스너 기존 사용자 + 신규 사용자 유도
🛎 메인 기능 : 방문자 초대장
🧸 서브 기능 : 점심 메뉴 추천과 관련한 게임 요소 + 간략한 커뮤니티 기능
개발 Develop!
지난 미니 프로젝트와 동일하게 GItHub Organization을 만들어 각 파트별 Repository를 생성하고 공통 슬랙 채널에 Github 알람을 연결하여 이슈 및 풀 리퀘스트 생성 시 알람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기획이 계속 변경됐기 때문에 PM과 UXUI 측에서 완벽한 설계를 넘겨주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아 UI 확정이 난 부분은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화면 설계서를 바탕으로 최소 기능부터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백엔드 파트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만들어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도록 했다. 우리 프론트 파트에서는 기획단이 프로젝트 기획 설계를 하는 동안 사용할 기술 스택을 논의했는데, 처음으로 Next.js + Emotion 조합을 사용해보기로 했다! 다양한 기술을 경험하는 것이 좋기도 하고, 기업 측에서도 Emotion을 사용 중이라고하여 결정했다.



회고 Retrospect!
현재 약 3주가량이 남아있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회고라기엔 거창하지만, 프로젝트가 메인으로 잡고 있는 방문자 초대장 기능 구현을 담당하면서 NextJS Emotion Zustand에 적응 중이다. 처음으로 전역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달이나 바텀시트를 만들고 있는데 사용할 수 있는 많은 경우의 수를 생각하느라 어렵지만...! 그래도 새로 시도해보고있는 것들이 많아서 재미있게 작업 중이다! 마무리까지 잘 진행되었으면 🙏
'K-Digital Training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최종 회고 (3) | 2023.10.14 |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미니 프로젝트 (1) | 2023.08.28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중간 회고 (0) | 2023.07.21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강사님 & 멘토님 (0) | 2023.06.28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그룹 스터디 워크샵 & 멘토링 (0) | 2023.05.28 |
어떻게 지냈나요?
미니 프로젝트가 끝나고 2주간의 재정비 시간을 거쳐 드디어 마지막..! 파이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파이널 프로젝트는 패스트캠퍼스와 파스터십을 맺은 기업의 서비스에 대한 솔루션을 패스트캠퍼스 부트캠프 수강생들의 협업을 통해 해결해나가는 과정인데, 미니 프로젝트 때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두 파트가 모여서 협업했다면 파이널 프로젝트는 PM, UXUI, FE, BE 네 개의 파트가 모여서 협업을 하게 된다. 미니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파이널은 개발 파트 팀원들이 바로 작업을 진행할 수 없고, PM의 프로젝트 설계와 UXUI의 유저 플로우 설계를 거쳐서 투입되기 때문에 프로젝트 진행 초반에는 개발 파트 팀원은 별도의 WBS 과정을 통해 미니 프로젝트 회고 및 리팩토링을 진행했다.
파이널 프로젝트?
앞서 이야기한대로 파이널 프로젝트는 패스트캠퍼스와 파트너십을 맺은 기업들의 서비스로 진행하는 기업 연계 프로젝트이다. 실제 기업에서 서비스 중인 프로젝트의 문제 및 니즈를 분석하고 팀 단위 협업을 통해 해결책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있다. 미니 프로젝트 때에도 떨렸지만 비개발 파트가 추가되어 보다 더 많아진 인원의 대규모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엄청 기대되고 떨렸던!!!!!
[ 파이널 프로젝트 : 오피스너 🏢 ]
진행 기간 : 2023년 8월 14일 (월) ~ 2023년 10월 6일 (금)
제출 일자 : 2023년 10월 6일 (금)
기획 발표 : 2023년 9월 1일 (금) 19:00
중간 발표 : 2023년 9월 22일 (금) 19:00
최종 발표 : 2023년 10월 6일 (금) 19:00
목표 Goal!
오피스너는 빌딩 내 입주자들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입니다. 현재 오피스너는 특정 기능 외에 유저가 서비스를 사용하는 시간이 줄고, 새로운 유저의 추가 인입이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해당 부분을 보완하는 해결책을 가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피스너 서비스의 유저 가입자 수와 WAU를 높임)
✅ 오피스너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고, 관리 효율을 높여 임팩트를 주고자 한다.
✅ 신규 일반 가입자 수 30% 상승
✅ MAU(Monthly Active Users) 100% 상승
협업 Cowork!
조편성 이후 대규모의 인원이 모여서 팀 빌딩을 진행했는데 각자가 원하는 팀의 규칙을 한 줄씩 적어가며 작성했다. 인원이 많은만큼 많은 내용이 담겨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이 이전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겪었던 팀 단위 협업의 필수 예절 등을 잘 적어주신 것 같다. 그리고 추후 프로젝트를 잘 관리하기 위해 프론트엔드 파트 팀원들끼리는 별도 노션으로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공유한다. 각각 잘 하는 것을 담당하기로 했는데 기록하기를 좋아하는 나는 회의록 작성을 전담하기로 했다.



기획 Planning!
우리 팀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어플을 계속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초대장 기능과 유저간의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기능을 가져가기로 결정됐다. 새롭게 만드는 서비스가 아니라 기존 서비스를 개선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회원가입과 로그인 등의 기본 기능은 생략하고 프로젝트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 개선에 집중하기로 했다!
🏢 타켓 대상 : 오피스너 기존 사용자 + 신규 사용자 유도
🛎 메인 기능 : 방문자 초대장
🧸 서브 기능 : 점심 메뉴 추천과 관련한 게임 요소 + 간략한 커뮤니티 기능
개발 Develop!
지난 미니 프로젝트와 동일하게 GItHub Organization을 만들어 각 파트별 Repository를 생성하고 공통 슬랙 채널에 Github 알람을 연결하여 이슈 및 풀 리퀘스트 생성 시 알람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기획이 계속 변경됐기 때문에 PM과 UXUI 측에서 완벽한 설계를 넘겨주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아 UI 확정이 난 부분은 디자인 작업을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화면 설계서를 바탕으로 최소 기능부터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백엔드 파트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만들어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도록 했다. 우리 프론트 파트에서는 기획단이 프로젝트 기획 설계를 하는 동안 사용할 기술 스택을 논의했는데, 처음으로 Next.js + Emotion 조합을 사용해보기로 했다! 다양한 기술을 경험하는 것이 좋기도 하고, 기업 측에서도 Emotion을 사용 중이라고하여 결정했다.



회고 Retrospect!
현재 약 3주가량이 남아있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회고라기엔 거창하지만, 프로젝트가 메인으로 잡고 있는 방문자 초대장 기능 구현을 담당하면서 NextJS Emotion Zustand에 적응 중이다. 처음으로 전역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달이나 바텀시트를 만들고 있는데 사용할 수 있는 많은 경우의 수를 생각하느라 어렵지만...! 그래도 새로 시도해보고있는 것들이 많아서 재미있게 작업 중이다! 마무리까지 잘 진행되었으면 🙏
'K-Digital Training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부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최종 회고 (3) | 2023.10.14 |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미니 프로젝트 (1) | 2023.08.28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중간 회고 (0) | 2023.07.21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강사님 & 멘토님 (0) | 2023.06.28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개발 부트캠프 5기 : 그룹 스터디 워크샵 & 멘토링 (0) | 2023.05.28 |